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언어 발달, 언제부터 말하기 시작할까?

by 민밍이네 2025. 3. 26.

아기의 성장 과정 중 언어 발달은 부모에게 가장 기대되는 순간 중 하나입니다. "엄마", "아빠" 같은 첫 마디를 언제 들을 수 있을지 궁금해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은 단순히 말을 시작하는 것만이 아니라 듣기, 이해하기, 반응하기 등의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기의 언어 발달 단계 및 단계별 특징과 이를 촉진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이와 엄마가 서로 교감을 하고 있는 사진
아이가 옹알이하며, 엄마와 교감하는 장면

1. 아기 언어 발달 단계

아기의 언어 발달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각 단계마다 아기가 보이는 언어적 특징을 이해하면 발달 과정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출생 ~ 6개월: 소리 탐색과 옹알이 시작

  • 부모의 목소리에 반응하고 얼굴을 바라봅니다.
  • 2~3개월경에는 "아", "우" 등의 단순한 소리를 냅니다.
  • 4~6개월이 되면 옹알이가 시작되며 다양한 소리를 조합하려고 합니다.

(2) 6개월 ~ 12개월: 의미 있는 단어의 전 단계

  • 소리의 패턴이 다양해지고, 감정을 표현하는 소리를 냅니다.
  • "마마", "바바" 같은 반복적인 소리를 내며 언어 구조를 익힙니다.
  • 9~12개월경에는 특정 단어를 이해하고, 간단한 제스처(예: 손 흔들기, 잼잼 등)와 함께 의사소통을 시도합니다.

(3) 12개월 ~ 18개월: 첫 단어 등장

  • 생후 12개월이 지나면 대부분의 아기가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합니다.
  • "엄마", "아빠", "맘마", "까까" 등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단어를 말할 수 있습니다.
  • 18개월 무렵에는 약 10~50개 정도의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18개월 ~ 24개월: 단어 조합과 문장 형성 시작

  • 두 단어를 조합하여 간단한 문장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예: "엄마 줘", "아빠 가")
  • 어휘가 급격히 증가하며, 약 200개 이상의 단어를 익힙니다.
  • 질문을 이해하고, 간단한 대답을 할 수 있습니다.

(5) 2세 이후: 본격적인 언어 확장

  • 문장이 더욱 길어지고 복잡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 어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3~4단어 문장을 사용합니다.
  •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감정과 생각을 언어로 표현합니다.

2. 아기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방법

(1) 자주 말 걸어주기

아기와 대화를 자주 시도하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말을 많이 해주세요. 아기의 반응에 맞춰 적절한 피드백을 주면 언어 발달이 촉진됩니다.

(2) 책 읽어주기

그림책을 활용하여 단어와 문장을 익히게 도와줍니다. 같은 단어를 반복적으로 들려주면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놀이를 통한 언어 자극

역할 놀이, 인형 놀이 등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언어를 사용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노래를 부르거나 율동을 하며 언어를 재미있게 접하도록 유도합니다.

(4) 기다려주고 반응하기

아기가 자신의 방식으로 말하려 할 때 기다려주고 반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두르거나 강요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도록 유도하세요.


3. 언어 발달 지연의 신호와 대처 방법

(1) 언어 발달 지연의 주요 신호

  • 12개월이 지나도 옹알이가 거의 없거나 특정한 소리를 내지 않는 경우
  • 18개월이 되어도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경우
  • 2세가 되어도 두 단어 조합을 하지 못하는 경우
  •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2) 대처 방법

언어 치료 전문가나 소아과 의사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언어 자극을 제공하고, 놀이를 통해 말을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래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을 늘려 언어 사용 기회를 확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부모가 언어 발달에 대해 가져야 할 태도

(1) 조급해하지 않기

아이마다 언어 발달 속도가 다르므로 조급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래보다 늦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차분하게 아이와 교감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아기가 말하려고 노력할 때 칭찬해 주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발음을 수정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올바른 표현을 들려주세요. 수정 행동을 바로 해버리면 아이가 자신감을 잃을 수 있습니다.

(3) 스마트 기기 사용 조절

과도한 TV 시청이나 스마트폰 사용은 언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대화나 친밀한 스킨십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아기의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인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면 원활한 언어 습득을 도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기의 속도에 맞춰 즐겁게 언어 발달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차분하게 아이와 교감하며 생활하다보면 성장 발달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될 것 입니다.